감독: 권혁재
주연: 설경구(강태식), 이정진(장필호), 오달수(최상철)
전직 경찰이었던 '강태식'은 불륜현장을 덮쳐 사진을 찍다 자신이 계략에 빠져 살인 누명을 쓰게 된다. 그리고 걸려온 한 통의 전화. 일을 잘 처리해주면 살인 누명을 벗게 해주겠다는 것.
'류승완'감독이 이번엔 각본을 쓰고 '류승완'사단의 '권혁재'가 직접 메가폰을 잡은 영화 <해결사>는 '류승완' 특유의 빠른 편집과 액션이 절묘하게 배합된 영화다. 여기에 '설경구'와 '이정진'을 투 톱을 세우고 '오달수', '송새벽', '이성민', '이영훈'등을 포진해 추석 특수를 단단히 노렸다.
'강철중'이 경찰직을 은퇴했을 때의 모습이라고 한다면?
적절한 개그와 긴박감 넘치는 편집과 카메라 워크. 정치와 사회의 부조리를 뒤섞은 이 영화는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용이성을 가졌다. 여기에 이름만 들어도 바로 얼굴이 떠오르는 배우들을 포진했으니 이 영화는 대박감이다.
그러나 이 영화는 관객들을 그리 쉽게 만족시키지 못한다. 의도했든 안했든 각 배우들이 많은 캐릭터는 '이영훈'을 제외하곤 지금까지 봐왔던 인물 그대로를 연기한다. 특히 '설경구'의 경우는 '강철중'과 '강태식'의 차이점이 없어보이며, '이정진'은 <말죽거리 잔혹사>의 '우식'이 겹쳐지며, '송새벽'은 <방자전>이다. 장점은 부담없이 캐릭터를 받아들인다는 점이지만 이러한 장점보다는 단점이 더 앞선다. 지금껏 봐왔던 캐릭터와는 좀 더 다른 신선함, 혹은 새로움으로 새 영화를 관람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전작들과 별 차이없는 캐릭터를 보게되면 쉽사리 식상해진다.
비덩 '이정진'. 비덩 그자체.
'오달수'가 의외로 큰 진가를 발휘하지 못했다.
이 영화에서 그나마 '송새벽'이 열심히 웃겨줄 뿐.
게다가 '류승완'감독의 장점은 액션연출에 있다. 하지만 액션연출을 제외하면 전체적으로 늘어지는게 일반. 결국 그는 별개의 요소엔 강하지만 전체적 구성엔 약하다는 흠이 있는데, <다찌마와 리>의 경우엔 이러한 현상이 두드러졌다. 그런데 <다찌마와 리>를 같이 만들었던 '권혁재'감독은 이러한 부분이 여지없이 드러난다.
결국 빠른 편집과 멋들어진 액션이 화면을 꽉 채우는 그 때 뿐이다. 흐름이 완만하지 못하고, 후반부로 갈 수록 억지성이 여지없이 드러나며. 중간 중간엔 늘어지기 쉽상이다.
그래도 정치적, 사회적 이슈를 담아 잘 배분은 하고 있지만, 캐릭터성이 강해 묻혀진다.
영화 <해결사>는 좋은 재료만 가득 모아두었지만 재대로 요리하지 못한 싱거운 영화다. 추석영화로 가볍게 볼 수는 있겠지만 큰 임팩트가 없어 아쉬움이 가득하다.
'k-movie review' 카테고리의 다른 글
<죽이러 갑니다>한국 영화 초유의 장르 전복 시도 (61) | 2011.01.13 |
---|---|
<라스트 갓파더>영구와 헐리우드의 이질적인 만남 (15) | 2010.12.28 |
째째한 로맨스(2010) - 로맨틱 코미디영화로서 적당한 영화 (13) | 2010.12.14 |
<김종욱 찾기>뮤지컬과 영화, 갈림길의 선택 (90) | 2010.12.04 |
<심야의 FM>이야기가 아닌, 영상과 조명으로만 만든 스릴러 (4) | 2010.10.08 |
<해결사>한바탕 신나게 놀아보는 마당놀이 같은 영화 (8) | 2010.09.08 |
<폐가>본연의 임무를 망각한 장르의 조난 (4) | 2010.08.17 |
<아저씨>상업영화와 장르영화 사이에서 찾은 절묘한 타협점 (9) | 2010.08.03 |
<고사 두 번째 이야기: 교생실습>세 번째 이야기는 안 나올 거라 믿는다 (8) | 2010.07.24 |
이끼 (2010, 강우석)_긴장감없는 스릴러, 배우마저 없었더라면 (5) | 2010.07.23 |